제1악장 : 알레그로 Allegro
으르렁거리는 듯한 저음의 현으로 시작하여 터질듯 말듯 계속 긴장감이 쌓여가다가 한꺼번에 터뜨린 뒤 불안한
고요속에서 피아노가 낭랑히 1주제를 노래하며 이어서 곧 2주제가 제시된다. 이어지는 전개부에서는 1, 2 주제가 변조되고 서로 얽히면서 전율을
느낄 정도로 긴박하게 곡이 진행된 후 격렬한 카덴짜를 끝으로 마치게 된다.
제2악장 : 로만쩨 Romanze
참으로 평온하면서 따뜻하고 우아한, 그러면서도 어딘가 우수어린 비애가 담겨있는 악장이다. 모든 슬픔을
체념하고 달관한 듯한 느낌마저 주는 이 아름다운 테마는 영화 '아마데우스'의 마지막 부분에 배경음악으로 나옴으로써 매우 인상적인 느낌을 주기도
했었다. 곡 중간부에서는 갑자기 지금까지의 평온이 깨어지고 폭풍우처럼 악상이 급변하다가 다시 처음과 같은 평온한 상태로 돌아온다.
제3악장 : 론도-알레그로 앗사이 Rondo:Allegro assai
어두운 정열이 곡 전체를 지배하다가 마지막에 갑자기 D 장조로 바뀌면서 화려한 분위기로 곡을
끝맺는다.
모짜르트는 총 27곡의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였는데 이중 17곡이 생의 마지막 10년동안, 즉 그의 음악적 기량이 가장
완숙한 시기에 쓰여졌다. 비록 경제적으로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그의 음악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음악적으로 뛰어난 작품들이
상당히 많이 배출될 수 있었다. 이 협주곡 20번도 이 시기에 쓰여진 주옥같은 명작들 중 하나이다.
수많은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한곡을 추천하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저없이 20번을
추천할 것이다. 이곡의 내면적 열정과 비장미, 모짜르트 특유의 눈물 머금은 미소를 들려주는 아름다운 선율이 그만큼 현대인들에게도 강렬한 인상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곡은 그 이전까지의 피아노 협주곡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몇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가장 큰 특징은 단조로 쓰여졌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그 당시 대부분의 피아노 협주곡이 귀족들의 여흥을
즐기는 정도의 목적으로 쓰여졌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단조의 채용과 과격한 열정적 표현은 그 당시로서는 상당한 충격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곡에서는 그 이전까지의 협주곡들과는 달리 관현악 파트의 중요성이 뚜렷하게 부각되어 있어서 과거에는 반주부로서의 기능만을 담당하던 관현악
파트가 피아노와 거의 대등할 정도의 입장을 차지하여 마치 피아노와 관현악의 대화를 연상케 할 정도가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목관파트의 선율
담당기능이 강화된 점은 이후의 협주곡들에서도 계속 나타나는 양상이다.
이에 대해 알프레드 아인슈타인(모짜르트 연구가) 은 "피아노 협주곡에서 모짜르트는 협주곡적인 것과
교향곡적인 것의 융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한다. 이와 같은 면들을 통해서 결국 피아노 협주곡이라는 분야를 완성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모짜르트라고 평가되며, 베토벤은 모짜르트에 의해 완성된 피아노 협주곡을 한차원 더 발전시켰다고 여겨진다. 여담이지만, 베토벤은 이
곡을 매우 좋아했다고 알려지며 그 자신이 1악장의 카덴짜를 작곡하기도 하였다.
위그림은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모짜르트(톰 헐스 분)가 작곡하는 장면입니다..우연한 기회에 모짜르트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감탄하는 살리에리...그는 천재성을 신께 부여받고도 방탕하고 거만한 생활을 하는 모짜르트를 증오하고 자신에게는 그런 모짜르트의
천재성을 알아볼 재주밖에 허락하지 않은 신을 저주합니다.
결국은 모짜르트의 죽음으로 평생을 죄책감에 시달려야했던 살리에리가 신부앞에서 자신의 저주로 모짜르트를 죽게
했다고 고백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바로 이 곡의 2악장이 흘러나왔습니다. 평온하면서 따뜻하고 우아하면서도 어딘가 우수어린 비애가 담겨있는 2악장의
멜로디는 영화속의 살리에리의 고통마저 달관하게하는 느낌까지 들게해줬던 음악으로 인상깊게 기억합니다.
<음원출처:
http://mediafile.paran.com>